미국 은행 파산 이유 (연쇄 도산과 부도) Ft.비트코인과 워렌 버핏

mexc 거래수수료할인 가입하기 – 가입 추천인코드 : 1Xici
3월 초 미국 실리콘밸리은행 (SVB) 파산을 시작으로 미국 중소형 은행의 연쇄 도산과 부도가 현실화되면서 미국 재무부는 물론 JP모건과 워렌버핏이 발벗고 나섰습니다. 여기에 유럽은 CS(크레디트스위스) 부도 위기로 UBS가 인수하면서 불을 껐는데, 요즘 왜 이렇게 은행들이 난리인지 알기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현재 상황 미국에서 16번째로 큰 은행이었던 SVB가 파산했습니다. 파산 이유는 어이없는 뱅크런이죠.​​SVB는 실리콘밸리에 설립된 은행으로 20년 코로나로 인한 유동성 확대 혜택을 톡톡히 봤습니다. 당시 돈이 풀리자 IT기업이 몰린 실리콘밸리로 그 돈이 모였죠. 그러면서 풍부해진 유동성을 바탕으로 미국국채를 대거 매입했는데, 갑작스런 기준금리 인상으로 국채 가격이 폭락*했습니다.​*금리가 오르면 국채 금리도 덩달아 오르며, 기존에 거래되던 낮은 금리의 국채 가격은 떨어짐​​투자했던 국채가 폭락해서 SVB는 18억 달러 규모의 손실을 봤다고 공시했고, 이를 메우기 위해 22.5억달러의 증자를 발표합니다(3월 8일). 여기까진 당연한 수순입니다. 그런데 이 발표로 갑자기 420억 달러가 인출되는 뱅크런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어이가 없죠​​ 돈을 인출하기 위해 줄 서 있는 SVB 고객들 ① 2.3조원의 손해가 발생해서 ② 유상증자를 통해 2.5조원을 마련한다고 하자 자기 돈을 못찾을 꺼라 걱정하는 고객들의 공포가 전염되어 ③ 55조에 달하는 예금이 빠져나갔습니다​. 단 이틀만에요!​​그래서 ④ 자산규모 300조에 달하는 SVB가 하루아침에 파산하게 된 겁니다. 이 모든게 일주일이 채 되지 않은 (영업일 5일 안에) 시간 동안 발생한겁니다. 디지털화로 인해 예금인출이 쉽고 간단하게 바뀌면서 은행 파산도 쉬워(?)진 겁니다.​​ 4대은행 총자산 = 2천조 우리나라 4대은행 (국민, 신한, 우리, 하나)의 총 자산이 2천조 가량됩니다. 단순 1/N 하면 500조원이죠. 말 그대로 우리나라 4대 금융회사 중 하나가 하루아침에 뱅크런으로 망한 셈입니다. 그러니 파급효과가 오죽할까요…..​​ 미국 전역으로 전염된 공포 ​​미국 은행 파산 (줄도산) 이슈가 여기서 나옵니다.​​ 우선 SVB 파산 이후 미국 중소형 은행들의 주가는 폭락했습니다. ​​ 자금여력이 약한 중소형 은행 파산설이 돌자 부랴부랴 BOA, 시티, JP모건체이스, 웰스파고 등 미국 초대형 은행들이 퍼스트리퍼블릭에 약 39조를 예치한다고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신용등급이 강등되고, 주가는 40% 가까이 빠졌습니다.​​​ 미국 시그니처 은행의 경우 하루 아침에 예금이 13조원이 빠지면서 파산했습니다. 시그니처 은행의 파산 이유도 결국 뱅크런입니다. ​​은행 부실이 이유가 아니라 돈을 못찾을꺼라는 걱정 때문에 은행이 파산한거죠. 미국의 경우 25만달러까지 예금자 보호가 됩니다. (우리나라는 5천만원). 약 3억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되는데 그 금액을 넘는 돈이 인출되면서 파산에 이르는거죠. “공포” 때문에 부도가 되는 겁니다.​​ 뜻밖의 수혜를 본비트코인 ​이번 미국 은행 부도 사태로 뜻밖에 비트코인이 수혜를 보고 있습니다.​​​ 3월 8일 2만달러 수준이었다가 미국 은행의 파산 이슈가 터지자마자 2.8만달러까지 수직상승했습니다. 한 주 동안 40% 가까이 폭등했죠.​​기존 제도권 은행에 대한 불신 (뱅크런)의 반사효과로 비제도권인 비트코인이 뜬 거죠. 믿고 맡겼던 제도권 은행 시스템에 대한 불신이 디지털 금이라고 불리는 비트코인의 신뢰로 옮겨가게 된 겁니다.​​ 특히 이번 SVB 파산을 비롯한 미국 은행의 연쇄 도산의 이유는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인한 미국채권 가격의 하락에 기인합니다. 따라서 이번 사태를 계기로 연준에서는 3월 빅스텝 대신 자이언트 스텝을 할 가능성이 높아졌고, 일각에서는 동결 이야기도 나오죠​​그러면서 시장에 유동성이 늘어날꺼라는 기대 때문에 비트코인 가격이 더 뜨고 있습니다. 유동성이 늘어나면 투자자산인 비트코인의 가격이 뛰니까요.​​ 버핏이 나섰다 ​ 오마하에 등장한 미국의 개인용 제트기 오마하는 인구 34만명의 소도시입니다. 인구 3.3억명의 미국에서 34만명이면 말 그대로 소도시죠 (우리나라 포항도 인구 50만명임) ​​ 하지만 오마하에는 오마하의 현인으로 불리는 버핏이 살고 있으며, 버크셔해서웨이의 본사가 있습니다. 그런 오마하에 미국 개인용 제트기가 대거 몰리면서 버핏에 도움을 청하는 은행의 CEO들이 날아왔다는 뉴스가 미국에서 나왔죠​​ 실제로 버핏은 08년 리먼사태 때 은행을 살린 해결사 경험이 있습니다. ​​버핏은 08년 골드만삭스가 망하기 전 50억 달러의 자본 조달을 도왔고 2011년 BOA 주가 폭락 당시 50억 달러를 투자해 지금 최대주주가 됐습니다. 물론 공짜는 아니죠. 당시 투자한 버핏은 천문학적인 수익을 거뒀습니다. 10%에 달하는 연간 배당은 물론 두배 이상의 차액까지 봤으니까요​​ ​미국 은행의 파산 이유는 결국 “금리 인상” 입니다.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인해 투자 손실이 발생했고, 이로 인한 공포로 뱅크런이 발생한거죠. 뜻밖의 비트코인이 그 수혜를 보고 있구요​​그러면서 미국 정부와 워렌버핏이 나서서 사태를 수습하고 있는데, 과연 잘 수습될지… 아니면 제2의 리먼사태 처럼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 넣을 금융 재앙이 될지 … 잘 지켜보고 투자에 임해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