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방비 폭탄에 이어 이젠 각종 공공요금 인상 줄줄이(ft.택시.지하철.버스 요금 인상)

스마트블록 로직

안녕하세요펭머니입니다.​1월 난방비 폭탄이 네이버 자동 검색어로도 뜨는 걸 보면 요즘 핫한 뉴스거리긴 맞는거 같네요. 만나는 사람들마다 어떻게 하면 난방비 폭탄을 피할수 있을지 꿀팁을 공유하느라 바쁘니 말이예요.​지난해 도시가스 요금은 4월. 5월. 7월. 10월 4차례나 오르면서 총 인상률로 치면 21년대비 38%가 넘게 올랐어요. ​도시가스는 취사와 난방에 사용이 되는데, 겨울철 난방에 사용되면서 1월 고지서를 받고 나니 인상율 체감을 확 받으신 분들이 많으신 것 같아요. 전기요금 역시 작년 kWh당 19.3원 오른 데 이어 올 1월부터 13.1원 더 인상된 부분도 난방비 폭탄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택시 요금 인상4월 지하철. 버스 등 교통요금 인상 휘발유와 전기 인상으로 인해 2월 1일 새벽4시부터 서울시 택시비는 기본요금 3,800원에서 천원이 인상된 4,800원으로, 2분기부터는 지하철.버스요금까지 줄줄이 인상 예정 되어 있습니다.​택시의 기본거리도 2키로에서 1.6키로 줄어들었구요. 심야할증시간에의 요금은 밤11시부터 새벽2시까지 인상전 5,300원의 기본요금에서 1,400원 인상된 6,700원이 됩니다.​​​ 자료 서울시 – 출처 ​전기 요금 뿐만이 아니라 더 많은 공공요금이 그것도 큰 인상이 될 예정이라 취약계층의 부담은 더 커질거 같습니다.​통계청의 자료에 의하면 작년 1분기 기준 소득하위 20%인 11분위 가구는 냉난방과 취사 등에 사용되는 연료비의 지출액이 월평균 10만원정도로 처분가능소득 84만7천원 대비 11.8%를 차지하는데요. ​이는 소득상위상위 100%의 경우에는 연료비 지출액이 처분가능소득 대비 2%에 해당하는데 이를 보면 취약계층이 부담하는 연료비 부담이 훨씬 큽니다. 서울시에서 8년만인 4월부터 지하철과 버스요금의 인상폭으로 300~400원 인상을 책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서울의 대중교통 일반요금은 카드 기준 지하철이 1,250원, 시내버스는 1,200원으로 만약 400원의 인상이 이루어진다면 지하철은 32%의 인상을, 버스요금의 경우에는 33.3%가 인상하는 것이 됩니다. 서울을 시작으로 전국 17개 시·도 지역 대부분이 택시.지하철.버스 등 대중교통 요금 인상을 결정 하였거나 검토 중이라고 하는데 시민들의 고통은 더욱 커지겠네요.​올해는 대중교통 인상 뿐만이 아니라 상하수도요금, 쓰레기 종량제 봉투 요금 인상, 주자요금까지 지방 공공요금 역시 인상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무임승차 화두 이렇게 큰 폭의 인상이 될 경우 매일 출.퇴근 등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서민들의 부담은 엄청날거 같긴 하지만, 서울 지하철은 코로나19 이후 연간 1조원의 적자에 시달리는데 그중에 무임승차 비중이 30%나 차지한다고 합니다. 오 시장은 간담회에서 대중교통 요금 인상은 ‘고육지책’이라면서 “그럼에도 정말 (인상 폭을) 낮추고 싶다”며 ‘진의’를 강조했습니다.​이어서 “무임승차는 당시 대통령께서 제안해서 생겨난 제도인 만큼 중앙정부가 손실 보전을 일정 부분이라도 해주는 게 논리적으로 맞는다고 생각한다”며 “기재부가 입장을 선회해준다면 그에 걸맞게 인상 폭을 조정할 수 있다”고 기재부에 공을 넘겼는데요.​오시장의 이와 같은 발언으로 정치권에서도 화두에 올랐는데요.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31일 원내대책회의에서 “무임승차는 중앙정부가 결정하고 지자체가 져야 하는데 기재위를 중심으로 근본적인 해결 방법을 논의해봐야 할 것 같다”면서 “서울시와 기재부가 지하철 무임승차 문제를 둘러싸고 서로 기 싸움 중인데 머리를 맞대 좋은 해결책을 찾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정부에서 올해 지원을 하기 어렵다하더라도 내년부터라도 보전해주겠다는 확답을 해준다면 대중교통의 인상폭을 낮출 수 있다는 의견을 밝혔지만, 이는 보전을 해주더라도 인상폭을 줄인다는 것이지 인상은 꼭 해야한다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