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L(Wake On Lan) 팀뷰어 원격 데스크톱 사용 시 추천

현대해상태아보험사은품

​​ 1. 원격 제어 프로그램과 궁합 팀뷰어 VS 구글 원격 데스크톱* 과거 학부생 시절 필자는 WOL 기능과 함께 팀뷰어 프로그램을 사용했다. 윈도우 PC와 모바일에 앱을 설치하여 외부망을 통해서도 PC를 컨트롤 할 수 있다는 점이 편리했다.*Chrome Remote Desktop​필자의 경우 대부분의 과제를 데스크톱 PC를 이용해서 해결했기 때문에 출력한 레포트 인쇄물을 집에 두고 오는 경우 이 프로그램을 요긴하게 사용했다.​ 물론, NAS나 클라우드 등을 활용해도 되지만 그 당시엔 저런 장치나 서비스가 대중적인 상황이 아니었다. 그래서 집에 두고 온 자료를 필자의 이메일로 전송하고 학교에서 출력하면 동기들은 나를 IT 전문가처럼 바라보곤 했다(문과 특).​시간이 지나고 팀뷰어 말고 여러 가지 유사 프로그램이 나왔는데 대부분 대체자가 될 수 없을 정도로 수준이 떨어졌다.​그때 당시엔 지금처럼 아이폰이 엄청난 점유율을 보이던 때가 아니라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 인기가 많았는데, 구글에서 원격 데스크톱 어플을 출시했다.​ 그래서 필자도 사용해 봤는데 장단점이 존재했다.[장점]처음 사용하는 사람도 쉽게 연동할 수 있음상대적으로 보안이 안정적임(일반인 기준)가볍게 사용할 수 있음​[단점]우클릭이나 키보드 입력 등 조작성이 떨어짐지원하는 부가 기능이 부족함​ 팀뷰어에서 문제가 됐던 부분은 위에서 2번인 보안 부분이었다. 필자도 한번 노트북에 설치했다가 해킹을 당한 적이 있는데, 다행히 바로 전원을 강제 종료 후 인터넷 케이블을 뽑고 부팅해서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이 문제는 2단계 인증, 화이트 리스트 등록, 강화된 비밀번호 설정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다. 현재는 원격 작업이 많이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 크롬 원격 데스크톱만 설치해 두고 필요할 때 사용하고 있다.​​ 2. WOL 사전 설정 일단 설정을 3가지로 구분해서 파악하면 쉽다.바이오스(UEFI) 설정PCIe 랜카드 설정공유기(라우터) 설정​첫 번째로 바이오스 설정의 경우 개인마다 사용하는 메인보드 제조사와 모델, 바이오스 버전이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니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한다는 측면에서 포스팅을 읽어 보면 된다.​ 바이오스(Asrock 기준)에 진입하는 방법은 컴퓨터를 부팅하고 DEL이나 F2를 누른다. 그럼 메인보드 설정을 할 수 있는 바이오스 화면이 나온다.​ Asrock의 경우 Advanced > PCIE Devices Power on 항목을 Enabled(사용함)으로 변경해 준다.​두 번째로 랜카드 설정은 윈도우 OS에서 진행하면 된다.​ [Ctrl+i]를 눌러서 설정창을 띄운다. 단축키가 안 먹으면 작업표시줄 좌측 하단의 윈도우 아이콘을 눌러서 톱니 바퀴 아이콘을 클릭하면 된다.​ 네트워크 및 인터넷 > 상태 > 어댑터 옵션 변경으로 이동한다.​ 네트워크 연결 창이 나오면 자신이 사용 중인 이더넷 네트워크 아이콘을 우클릭한 후 속성을 클릭한다.​ 이더넷 속성 창에서 상단에 있는 회색의 구성 버튼을 누르면 또 새로운 창이 나온다.​ 자신이 사용 중인 랜카드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는 창이 나오면 고급 탭을 클릭한다. 그리고 다음 항목을 사용함(Enabled), 속도 제한 없음(Not Speed Down)으로 변경한다.Wake on Magic PacketWake on pattern matchWOL & Shutdown Link Speed이외 Magic Packet, Wake~ 관련된 항목이 있으면 활성화시켜 주면 됨​ 다음 전원 관리 탭으로 이동해서 체크된 항목을 모두 해제 후 확인을 눌러 준다.​세 번째로 ipTIME 공유기에서 원격 부팅시킬 PC 등록, DDNS 설정, 외부접속포트 활성화를 시켜 줘야 한다.​ 내부망에서 192.168.0.1(기본 게이트웨이)를 입력한 후 관리자 페이지로 접속한다. 게이트웨이 주소는 [Ctrl+R] 누르고 cmd 실행한 화면에서 ipconfig를 입력하면 확인할 수 있다.​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 후 관리도구 항목을 클릭한다.​ 고급 설정 > 보안 기능 > 원격 관리 포트 사용 ✅체크 후 적용을 클릭한다.​ 이어서 고급 설정 > 특수 기능 > DDNS 설정 으로 이동한다. 호스트 이름에 원하는 주소를 적고, 사용자 ID에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 후 DDNS 등록을 클릭한다.​ 마지막으로 고급 설정 > 특수 기능 > WOL 기능 에서 원격 부팅할 PC의 MAC 주소를 입력한다.​ ipTIME의 경우 돋보기를 누르면 검색 되는데 잘 모르겠다면 아까와 같이 cmd을 실행한다. 그리고 ipconfig /all 이라고 입력하면 이더넷 어댑터 이더넷 > 물리적 주소에 MAC 주소가 표시된다.​​ 3. 공유기 전용앱 VS 서드파티 앱 타사 공유기는 브로드캐스트에 포트포워딩이 가능하여 서드파티 앱을 통해서도 원격 부팅이 가능하지만, ipTIME은 브로드캐스트를 막아 놨기 때문에 반드시 자사 앱을 이용해서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만약 타사 앱을 이용해서 원격 부팅을 시도하려 한다면 오로지 내부망에서만 가능하다. 이때 MAC 주소는 해당 PC 것을 입력하면 되고, DDNS는 사용 불가하니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입력하면 된다. ipTIME은 192.168.0.255이다.​우리가 이 기능을 사용하려는 근본적인 목적이 외부망에서도 자유롭게 원격 제어를 시도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구글플레이나 앱스토어에서 ipTIME WOL 앱을 다운로드해야 한다.​ 1) 공유기의 와이파이 망에 접속한 후 앱을 실행한다. 그리고 공유기 자동 검색을 선택한다.​ 2) 검색된 공유기를 선택한다.​ 3) 공유기 이름, 내부 IP 주소, 공유기 관리 포트는 자동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공유기 관리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4) 챕터 2에서 DDNS를 정상적으로 활성화 했다면 DDNS는 자동으로 연동된다. 만약 NO-IP나 DuckDNS 같은 DDNS를 이용 중이라면 수동으로 입력해 주면 된다.​ 5) 등록이 정상적으로 끝났다면 다음 화면에서 등록된 PC 목록이 보이고, 원한다면 자동 검색 후 새롭게 추가할 수도 있다.​와이파이 뿐만 아니라 LTE/5G를 통해서도 앱을 이용하면 원격으로 컴퓨터를 켤 수 있다. 대신 끌 때는 팀뷰어나 구글 원격 데스크톱 같은 앱을 사용해야 한다.​ DDNS ipTIME 공유기 및 무료 Duck DNS 설정 블랙프라이데이가 지났네요. 즐거운 쇼핑이 되셨나요? 보통 블프기간엔 다른 것보다 전자제품을 굉장히 많… blog.naver.com ​​ 4. 덧붙이는 말 ipTIME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자사앱을 통해서만 정상적으로 기능이 작동되도록 제한을 걸어 놨다. 그래서 서드파티 앱을 사용할 수 없는데 만약 다양한 공유기에 다양한 PC를 관리하는게 아니라면 굳이 서드파이 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그러나 다양한 공유기를 사용 중이거나, 배경화면 위젯을 통해 원격 부팅을 실행하고, 제대로 부팅이 됐는지 ON/OFF 상태를 확인하고 싶다면 서드파티 앱을 사용하는 게 좋다. 당연히 ipTIME은 불가능.​추가로 포스팅을 따라서 똑같이 설정했는데 설정한 공유기 상단에 또다른 공유기가 존재한다면, 이중포워딩이나 Super DMZ 같은 설정을 해야 한다. 이 부분까지 설명하려면 분량이 너무 길어지니 구글링을 해보거나 후속편을 기다려주길 바란다.​​ 재택근무 시 컴퓨터 원격 제어 가능한 ipTIME VPN 서버 설정 L2TP 2020년 초부터 본격화된 코로나 여파로 재택근무를 시행하는 대기업 및 중견기업들이 많이 늘어났다. 환경… blog.naver.com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