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Viewer 윈도우가 개발된 이래 일반 사용자들에게 가장 사랑받은 원격 제어 프로그램은 팀뷰어(Team Viewer)일 것이다. 간단한 사용법으로 인해 상대방이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더라도 해당 PC에 발생한 문제를 원격으로 해결해 줄 수 있는데, 원도우 자체에서 지원하는 원격 지원 기능(윈도우 프로 버전 이상에서 지원)과는 달리 복잡한 설정이 필요하지 않아 접근성이 좋다. 수년간 팀뷰어를 사용해왔는데, 근래에는 게스트 PC에서는 팀뷰어 계정으로의 로그인을 의무화를 강제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구글 리모트 데스크톱으로 전환했다. [개인적인 입장에서 본 팀뷰어 대비 구글 리모트 데스크톱의 이점] 1. 팀뷰어/구글 리모트 모두 계정에 로그인이 필요하다. (나는 크롬 사용자라 문제없다) 2. 크로미움 기반의 구글 크롬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이 지원되는 브라우저(엣지 or 크롬)을 사용해야 한다. (크롬 사용 중이다)3. 비밀번호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리부팅 후에 매번 새롭게 부여받을 필요가 없다.[필요 사항]구글 크롬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고 확장 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한 PC (Host)로그인 가능한 구글 계정 (자동 로그인 상태 권장)크롬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는 Guest 용 디바이스 (PC/스마트폰) *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 본 포스트에서는 편의상 원격 제어 요청자(요청하는 PC)를 HOST로, 원격 제어 실행자를 GUEST라고 표기한다.[Windows PC의 크롬 브라우저에 확장 프로그램 설치하기] 크롬 웹 스토어 > 검색란에 Google Remote Desktop > Chrome에 추가 > 확장 프로그램 추가 > 확장 프로그램 추가 > 크롬 브라우저 상단의 확장 프로그램 아이콘 > Chrome Remote Desktop 고정 아이콘 > 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Chrome Remote Desktop 아이콘 > 내 컴퓨터에 액세스 > 원격 액세스 설정 – 다운로드 > chromeremotedesktophost.msi 파일 설치 > 사용자 컨트롤 = 예 > 동의 및 설치 >* PC가 여러 대일 경우에는 추가 PC에서도 같은 구글 계정을 사용할 것이므로, 다른 PC에서도 같은 작업을 진행하면 이미 플러그인 추가되어 있으니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설치 후에 ‘사용’을 클릭하면 된다. 현재 PC의 이름을 찾기 쉽게 바꿔주고 > 다음 > 6자 이상의 비밀번호 2번 입력 > 시작 > 예 >* 호스트 기기에서 현재의 PC 내의 폴더와 파일에 액세스가 가능하게 설정하는 기능 이렇게 기기가 등록되면 이제 다른 디바이스에서 이 PC를 원격 제어가 가능해진다.(물론 다른 디바이스에 제어용 앱이나 확장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다른 브라우저도 그렇지만 포터블 형식으로 실행되는 특이한 경우가 아니라면 윈도우로 부팅되면 브라우저를 실행하지 않아도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으로 실행되므로 원격 제어를 위해서 브라우저를 추가로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물론 팀뷰어도 윈도우 시작과 함께 자동으로 실행되게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지만, 새로 부팅하고 나면 팀뷰어의 비밀번호도 바뀌게 되니 문제다. (보안을 위한 측면에서는 다른 사용자의 PC를 원격 제어하는 경우라면 당연히 비번이 바뀌는 것이 유리한 점이다, 문제는 내가 내 시스템을 원격 제어할 경우에는 매번 비번을 입력해야 한다면 불편하다는 것이지)[스마트폰에 구글 리모트 데스크톱 앱 설치하기] 앱의 설치와 실행은 너무 간단해서 설명할 필요는 없을 것 같지만, 화면이 어떻게 보이는지 확인하자는 의미다. 폰을 이용한 PC의 원격 제어가 필요 없다면 스마트폰용 앱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앱 스토어 > 구글 원격 데스크톱 > 설치 > 원격 데스크톱 > 호스트 기기(예제: Surface Pro 4) > 연결 > 호스트 PC에서 설정한 비밀번호 > 연결 > 스마트폰에서 원결 제어 중인 화면 폰의 상단에서 아래로 쓸어내리면 가상 마우스 태블릿의 터치스크린처럼 동작하는 모드도 지원한다. 도움말에는 게스트 디바이스가 PC 일 경우에 빠르게 컨트롤이 가능한 단축키들을 소개하고 있다.[PC 간의 원격 제어는?] 집에 있는 PC(예제 FX502)에 구글 리모트 데스크톱을 설치해두고 전원을 켜놓은 후 출근했다. WOL을 사용한다면 원격으로 켜주면 되겠지만 추가로 공유기의 설정이 필요하므로 이 글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크롬 브라우저 구글 리모트 데스크톱 확장 프로그램 아이콘 > 원격 액세스 > FX502 > FX502에서 설정한 핀 번호(비밀번호) > 연결 버튼 >* 이 기기에 내 PIN을 저장합니다에 체크해 주면 다음부터는 비번을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원격 제어 창이 열리면, 허용 > 타인의 PC를 원격 제어하려면 브라우저 > 리모트 데스크톱 확장 아이콘 > 원격 지원 >* 이 부분은 글을 쓰던 중에 알게 된 것이라 테스트 안 해봤으니, 언젠가 필요 해지면 포스팅할 생각이다. [Google Remote Desktop 정리] 1. 게스트 & 호스트 모두 크로미움 기반의 브라우저와 크롬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2. 양측 모두 구글 계정에 로그인해야 한다.3. 같은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된 경우 비번을 저장해두고 바로 연결이 가능하다.4. 팀뷰어 무료 버전과 달리 사용 기기 대 수 제한이 없다, [관련 글]팀뷰어를 대체할 원격 제어 크롬 브라우저 용 확장 프로그램: 구글 리모트 데스크톱(Google Remote Desktop)https://blog.naver.com/baljern/222908247112구글 리모트 데스크톱으로 다른 사용자의 PC 원격 제어하기https://blog.naver.com/baljern/222909598542스마트폰용 구글 리모트 데스크톱 앱에서 다른 사용자의 PC를 원격 제어하기https://blog.naver.com/baljern/222909201625엣지 브라우저(Edge Browser)에서 구글 리모트 데스크톱(Google Remote Desktop)의 원격 제어 사용하기https://blog.naver.com/baljern/222911484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