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ChatGPT) ,바드 가 비트코인에 줄 영향 / 1부

mexc 거래수수료할인 가입하기 – 가입 추천인코드 : 1Xici
두 달 전 챗GPT를 접했었고, 며칠간 테스트해 본 뒤 머릿속에서 지우고 지내왔는데 요즘 어딜 가도 챗GPT, 바드 이야기로 가득하다. 지금 하고 있는 일이 핀테크 분야이지만 아무래도 AI와 직접적인 관련되어 있다 보니, 내 생각을 한번 공유해 볼 때가 된 것 같다.​본격적인 챗GPT 와 관련한 이야기에 시작하기 앞서, 내 블로그를 구독 중인 분들은 대부분 비트코인 관점 보러 오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비트코인에 대해 간략한 언급을 먼저 하려고 한다. 챗GPT, 구글 바드에 대한 내용만 궁금하신 분들은 다음 소제목으로 넘어가도 무방함.​ 비트코인 분석 2월 11일 비트코인 분석 4일 전 카페에 오랜만에 비트코인 관점을 공유했었다. 요즘은 카페 위주로 활동을 계획 중이니, 블로그에 글이 잘 올라오지 않는다 싶으면 매킨 트레이더스 클럽 카페를 확인해 보시기 바란다. (카페 링크는 프로필 참조)​ 2월 11일 비트코인 분석 자세한 내용은 이미지를 클릭해 확인해 보시기 바라며, 간략히 정리하자면 0.618 근방 매물대 지지 받고 올라가는 흐름을 예상했었다.​ 비트코인 일봉 / APEX 바툼 지금 비트코인은 0.618을 지켜내며 다시 반등을 이어가는 중이다. 첫 번째 박스 구간이 4일 전 언급했던 매물대 구간이며, 매물대 상단부 터치 후 비트코인은 반등을 이어가고 있다. 상승 추세에 문제가 발생하는 기준은 비트코 2만 불이 깨지는 0.5이다. 이 역시 카페에 적어놨던 내용을 참고하시길 바람.​ 챗GPT (ChatGPT)는 절반의 혁신 챗GPT에 대한 정의, 어떻게 활용하는지 뭐 이런 내용은 다른 블로그나 유튜브에 복붙 수준으로 널려있으니 이런 지루한 부분은 모두 스킵하고 본론으로 들어가 본다. 참고로 나는 AI 전문가도 아니며, 단지 AI 회사들, 프로그래머들과 함께 일하고 있을 뿐이니 AI에 대한 기술적 식견은 매우 좁으며 오류도 있을 수 있음을 참고하시길 바람.​결론부터 챗GPT에 대한 개인적 평가를 내리자면 일반적 분야에서는 ‘혁신’이 맞고, 반면에 전문 분야에서는 ‘장난감’ 수준이며, 투자 분야에서는 장난감조차 되지 못한다.​ 유튜브에 넘쳐나는 챗 GPT로 돈 버는 법 챗GPT로 돈 버는 법에 대한 영상을 모두 보지는 않았지만, 구조적으로 다를 수가 없다고 생각한다. 내가 확인한 몇 가지 영상들은 역시 챗GPT로 자동 블로그 작성, 자동 영상 만들기 이런 것들이다. 이 방법들로 당장 돈을 벌 수 있느냐고 묻는다면 아마도 그럴 수도 것이다. 하지만 아주 단기적일 것이라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아래 항목에서 이어가겠다. ​ 이런 영상들이 전세계 모든 언어로 만들어고 있다는걸 염두해 보자 ​가만히 앉아 돈 벌 수 있는 비법을 혼자만 알면 되지 왜 무한한 경쟁자를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일까? 그 이유는 이건 그저 챗GPT의 기능을 떠올렸을 때 누구나 할 수 있는 생각과 방법이며, 그 결과까지 쉽게 예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내가 생각한 건 남들도 이미 다 한다 구글의 기본 서비스는 검색이며, 검색 결과에 대한 퀄리티는 구글의 생존과 직결된다. 이미 챗GPT 출시 이후부터 구글에 Trash 데이터가 급증하고 있으며, 전 세계인이 일 안 하고 돈 벌어보겠다고 똑같은 방법으로 챗GPT에 접근한 결과물이다. ​ 구글 임원진 회의 결과 번역문 (빨간 박스가 핵심) ​구글이 이를 손 놓고 있을 리 없으며, 이미 AI 챗봇에 오랜 투자를 해왔기 때문에 당연히 검색서비스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AI 자동 완성 문서나 영상에 대한 대응책을 1순위로 마련할 것은 자명하다. 그런데 문득 궁금해진다. 구글은 AI 기술력이 딸려서 챗 GPT 발표를 손 놓고 보고 있었던 것일까?​ 챗GPT vs 구글 바드 ​ ​구글의 챗봇 Bard(바드)가 시연회에서 오답을 보여주는 수모를 겪기는 했으나 이는 그만큼 AI 자체의 기술력이 아직 갈 길이 멀다는 것을 보여줄 뿐이지 절대 바드가 챗GPT보다 성능이 낮다고 할 수는 없다. AI는 결국 학습 데이터량과 돈의 싸움이기 때문에 규모의 경제에서 구글을 따라올 수는 없다. 구글이 그동안 바드를 발표하지 않았던 건 기술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현재의 캐시카우를 포기할 이유가 딱히 없었을 뿐이다.​ 1975년 디지털카메라 기술을 개발한 코닥 지금 구글의 상황은 과거의 코닥과 비슷하다. 코닥은 필름 판매가 주된 수입이었고, 이를 포기할 수 없어 결국 혁신의 기회를 놓치면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기업이 되었다. 코닥이 멍청한 기업이어서가 아니라 핵심 사업에 타격을 가하는 기술을 발표하는 건 정말 쉬운 일이 아니다. ​ MS의 챗GPT 12조 원 투자 ​이랬던 구글이 바드를 공개할 수밖에 없었던 건 MS 때문이다. AI 사업의 성패는 돈싸움 그 자체이기 때문에 MS가 참전한 이상 더 이상 구글은 이 상황에서 안전하지 않은 것이고, 그렇게 바드는 떠밀 리 듯 공개되었다.​이제는 구글 바드도 후퇴 할수 없는 싸움에 참전할 예정이고, 누구나 AI챗봇을 이용해 돈을 벌려고 들 것이다. 투자건, 사업이건 모든 분야에서 성공한 그룹은 대략 상위 5% 이내일 것이다. AI챗봇으로 돈을 벌려고 하는 사람들의 성패는 누구나 할 수 있는 스팸 컨텐츠 생산이 아닌 AI 챗봇을 활용한 ‘아이디어’와 ‘디테일’에서 이 5% 이내에 속할 수 있을지 여부가 결판이 나게 될 것이다. ​ 글이 길어져 2부로 나눕니다. 2부에서는 AI 챗봇으로 돈 버는 방법에 대한 것과 AI챗봇 코딩이 비트코인이나 주식, 선물 시장에 줄 영향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