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Uncategorized

서울시 지하철 버스 요금 400원 인상 그리고 무임승차제도

빅토리티비

올 것이 왔다.​연말 그리고 1.1일부터 적자 운영 및 더이상 버티기 어렵다 징징 되더니…​구정 연휴가 끝나자마자 지하철, 버스 요금 인상안이 발표되었다.​300원이다 400원이다, 기사마다 살짝 다르지만 어째든 인상은 인상 현재 요금, 인상 후 요금 비교 이해는 하지만… [지하철 요금] 지하철 현재 인상 300원 / 400원 카드 1,250원 1,550원 / 1,650원 현금 1,350원 1,650원 / 1,750원 [버스] 버스 현재 인상 300원 / 400원 카드 1,200원 1,500원 / 1,600원 현금 1,300원 1,600원 / 1,700원 이해는 한다. ​김밥에서 떡볶이 짜장면 그리고 가스요금, 기름값 등 안 오른게 없는데 지하철 버스 요금도 덩달아 인상이 되는 건 당연.​하지만 적자폭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얼마든지 있는데…. 민감한 영역, 노인무료 승차 노인의 기준은? 경제적 활동을 한다면? 그런데 요금 인상만이 답은 아니다. 최소한 지하철의 경우에는 말이다.​출퇴근 시간뿐만 아니라 한가한 오후 시간대를 지하철을 보면…​경로 우대 무임승차 고객이 절반이다. (물론 출퇴근시간에도;;;;)​과거 법안이 나올 때야 노인 인구도 적고, 평균 수명과 건강의 질도 부족했지만…​하지만 지금은 70세 이상 고령층도 할아버지, 할머니가 아니라 아저씨 아줌마다.​일도 하고 돈도 벌고 하고 싶은 거 다한다.​그런데 무료라니 여전히..제발 시대에 맞게 법 개정하자.​그분들도 일하고 평균 재산도 어느정도 이상이라면…​”출퇴근 시간대라도 정상 요금을 받던지…””요금의 절반이나 500원이라도 받자”​그러면 어느정도 적자의 폭은 개선되고 부담도 나눠 같은 효과도 가질 수 있다. 여론은 대체로 긍정적 70세 이상으로 올려?? 과거 2019년 자료.​그때는 최소한의 비용 납부는 아니더라도 연령을 상향 조정하자는 의견.​이것도 나는 찬성.​하지만 점점 노인 누적층도 많아지고 경제 활동하는 인구층도 줄어들텐데…​연령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느정도 최소 요금이라도 내게 하는 게 나는 필요하다고 본다.​물론 연령 상향+최소 요급 납부면 더 좋고… 서울 시민의 발 모두가 이용하는 대중교통 서로 부담하고 서로 노력하자 솔직히 기사가 나와서 글을 쓰긴 했지만, 한번은 꼭 말해보고 싶었던 시사 영역.​경제도 점점 안좋아지고, 힘들어지는데 출퇴근 시 대중교통 가격도 오르면 너무 아찔하다.​분명 해결 방안이 있고, 그 중 무임승차 비율을 낮추면 지하철공사의 적자폭도 개선되고 이용자 부담도 덜해주고 좋겠다.​요금 인상이 다가 아니라 근본적인 해결책이 나오면 좋겠다. ​#지하철요금인상 #버스요금인상 #공공요금인상 #인플레이션 #너혼자산다 #내생각 #지하철무임승차 #지하철경로우대 #300원인상 #400원인상 #초인플레이션 #경제폭망 #지하철공사적자

gotsenofficial

Share
Published by
gotsenoffic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