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Uncategorized

비트코인 전망 및 시세 그래프 (3월 23일 브리핑) 비트코인 적립식 투자 인증(86주차)

mexc 거래수수료할인 가입하기 – 가입 추천인코드 : 1Xici
3월이 시작되었네요. 3월의 시작으로 저는 86주차 비트코인 적립을 완료 했습니다. 이번 주는 비트코인이 하락하여 2900만원대로 회귀하였습니다. 10만원으로 0.00334907개를 적립완료 했네요. 현재까지 누적 86주차 860만원을 투자하였고, -18% 정도의 하락으로 인해 700만원 정도의 평가액을 보이고 있습니다. 수익률 보다 중요한 비트코인 수량은 0.233개 정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급의 하락과 상승은 크게 개념치 않고, 수량을 늘리는데 집중하겠습니다. 결국 비트코인 가격은 오를 것이고, 그때 수량이 눈에 들어올것이니까요! 누적금액 대비 평가금액은 열심히 올라가던 선이 다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네요. 그래도 2022년 7월부터는 우상향 하는 경향이 있으니 든든합니다. 조금 쉬었다가 다시 또 열심히 올라갈 자산이니까요. 비트코인 뉴스 1. 실버게이트 사태, 비트코인 3천만원 무너져 매일경제 이번의 하락은 실버게이트 뱅크런 우려에 의해 비트코인이 1시간만에 5% 가까이 하락하였습니다. 실버게이트는 미국 코인 전문은행으로 코인 회사 간 실시간 자금 이체를 돕는 결제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FTX 사태로 인해 예금 대란을 겪고 최근 회계연도 말에 제출해야하는 연례 보고서를 미제출하여 파산하는 것이 아니냐는 불안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주요 거래처인 코인베이스 등이 이미 실버게이트를 손절에 나섰기 때문에 그 위기감이 크게 작용한 것이죠. ​FTX 파산으로 인해 실버게이트는 2022년 4분기 1조가 넘는 금액의 손실을 입고, 이에 따라 인출이 급증하면서 18조원이 넘는 금액이 인출 되어왔습니다. 그렇다보니 은행이 버텨낼 수가 없었나 봅니다. 직원 40%를 해고하는 등 자구책을 보였지만, 결국 이번 10-k 보고서 제출을 연기하며 불안감을 키웠다고 볼 수 있죠. 파이낸스 뉴스 이러한 불안으로 인해 실버게이트 주식도 반토막이 나버렸네요. 장기적으로 봐도 205달러를 돌파하기도 했는데 현재는 5~6달러 정도의 주당 가격을 보면 코인의 변동성 저리가라할 정도네요. ​한편 이 또한 FTX 사태의 여파입니다. FTX가 여전히 시장에 악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악재들이 해소되려면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제 막바지에 온 것처럼 보였지만 실버게이트가 다시 한번 찬물을 끼얹고 있는 것이죠. ​그래서 긴호흡으로 시장을 바라보고, 가야 되는게 아닐까 합니다. 가격이 오른다고 무턱대고 매수를 하다보면 예상하지 못한 하락으로 손해를 볼수도 있기 때문에, 기계적인 적립식 매수로 대응해 나가겠습니다. 2. 2024년 반감기가 서서히 다가오고 있다. 코인리더스 역사적으로 3월은 하락 추세가 많았다고 하네요. 뭐 상관 없습니다. 3월 하락하고 다시 오르면 되죠. 비트코인은 일반적으로 반감기 이전에 바닥을 찍는다고 캐프리올 인베스트먼트 CEO가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2022년 4분기와 2023년 1분기 사이 바닥을 찍고, 본격적인 강세장에 진입할 수 있다는 것이죠. ​그의 분석에 따르면 이제 마지막 하락이 있을 수 있다는 경고라고 생각 합니다. 비트맥스 창업자 아서헤이즈 또한 한번더 하락할 수 있고 20K를 갈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후 본격적 상승장이 시작된다는 것이죠. 이렇게 간들 저렇게 간들 목적지는 2024년 반감기에 맞춰져 있습니다. 대략 1년 정도 남은 시점이네요. 비트코인 반감기는 현재까지 3회 진행 되었습니다. 2012년, 2016년, 2020년 … 그리고 2024년 반감기가 예정되어 있죠. 비트코인 반감기는 채굴량이 반으로 주는 이벤트이고, 채굴량이 반으로 준다는 것은 결국 공급이 줄어드는 것입니다. 물론 비트코인은 2100만개라는 한정된 발행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장에 나오는 물량이 줄어들고, 수요가 늘어나면 자연스럽게 가치는 올라가게 되죠. ​현재까지 3회 모두 비트코인 반감기에 가격이 상승 했습니다. 하지만 다음 반감기에도 오른다고 확답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언제나 그랬듯 글로벌 시계는 2024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금리인상이 본격적으로 2024년에는 가능하게 될 수 있어 보이며, 반감기 호재까지 함께 발생한다면 다시한번 가상자산 시장의 불장이 올 수 있으니까요.

gotsenofficial

Share
Published by
gotsenoffic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