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저성형외과 신논현역 안녕하세요 플레저 성형외과 손유석 원장입니다.최근 낭만닥터김사부 포스팅을 좋아해주셔서 오늘은 드라마 닥터차정숙을 보면서 느낀 점을 말씀드릴까 합니다. 닥터차정숙을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극 중 차정숙(엄정화)은 오랜기간 일을 쉬다가 20여년만에 레지던트 수련을 하기위해 대학병원에 들어가게 됩니다. 닥터차정숙 병원 레지던트로 입사 한편 차정숙의 남편은 차정숙 몰래 의대동기이자 가정의학과 교수인 명세빈과 몰래 만나고 있는데요,차정숙의 남편과 내연관계인 명세빈은 둘다 이 상황이 달가울리 없겠죠?하지만 닥터차정숙의 남편은 차정숙이 나이 46세에 레지던트 생활을 버틸 수 없을 거라고 생각하며 명세빈을 안심시킵니다. 닥터차정숙 불륜 과연 레지던트 생활은 얼마나 힘들길래 이렇게 생각했던 것일까요?드라마 중에 보면 닥터차정숙이 ”라떼는“을 시전하면서 예전 병원 근무환경에 대해 이야기 하는 장면이 있는데요, 여기에서 영감을 받아 오늘은 제 경험을 통해 레지던트 생활의 난이도를 한번 말씀드려보겠습니다. 물론 요즘에는 전공의법도 통과되었고 해서 제가 수련을 받을 때보다는 훨씬 나을 거라 생각합니다. 라떼는 이제 시작해 볼까요? 닥터차정숙 라떼는.. 의대생 뇌구조 대략적으로 의사가 수련을 받는 과정에 대해 먼저 말씀을 드리겠습니다.6년간의 의대 생활이 끝나면 1년간의 인턴, 4년간의 레지던트(전공의) 생활이 시작됩니다. 인턴은 1달씩 병원의 여러 과를 돌면서 일을 하고 특정과에 지원하여 합격을하면 그 과에서 레지던트를 시작합니다. 전공과에 따라 다르지만 수술과들은 대부분 레지던트 1년차의 근무강도가 매우 높습니다. (한마디로 빡쎕니다.)인턴도 만만치 않게 힘들지만 저 역시 레지던트 1년차가 가장 힘들었는데요,지금 생각해봐도 인턴은 다시 하라면 하겠지만 레지던트 1년차는 다시 할 엄두가 나지 않습니다. 닥터차정숙 – 의사가 되는 과정 첫 시작은 100일 당직부터인데요, 말그대로 병원에 100일 동안 살면서 일을 하게 됩니다.(저희 병원 이원장님은 4달 동안 병원에서 살았다고 하더군요)근데 꼭 병원에 있어야한다고 정해놓지 않아도 일이 많아서 도저히 병원 밖으로 나갈 수가 없습니다.처음에는 일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말그대로 “24시간이 모자라”입니다.저도 110일 정도 병원에서 먹고자고 하다고 첨으로 오프를 받아서 집에 갔던 기억이 있는데요,조금 쌀쌀한 2월말부터 3-4개월 정도가 지난 봄에 나가게 되었는데얇은 옷이 없어서 그냥 2월에 입던 두꺼운 잠바를 입고 집에 갔습니다. 몇개월만에 가족들과 상봉하고 저녁먹으려고 숟가락을 들었는데, 그 순간 병동에서 급한 콜이 와서 다시 병원으로 돌아갔습니다.이게 제 레지던트 1년차 첫 오프의 추억입니다.. 닥터차정숙 주100시간 근무 닥터차정숙에서 차정숙이 주당 100시간 근무했었다고 이야기하는 장면이 있는데요, 주당 100시간 근무, 이게 진짜일까요? 단순계산으로도 주당 100시간이면 주7일, 하루 14시간이상 일을 해야되는데요, 이게 가능한 것인지 궁금하실 수 있겠습니다. 제 경험상 레지던트 1년차 기준 주당 100시간 근무, 쌉가능하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사실 병원에서 먹고 자면서 계속 일하는 상태기 때문에 100시간 이상도 일하게 됩니다. 뭔일이 그렇게 많냐고 하실수 있는데요, 병원에 따라 다르지만 제가 있던 병원 성형외과 1년차는 윗년차들이 수술실에 가거나 하는 동안 병동이나 외래, 응급실의 업무를 모두 도맡아 했습니다. 일이 정말 많았는데요 특히 처음에는 일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밤새 일하거나 2-3시간 자고 일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리고 온콜(on call)이라는게 진짜 무서운데, 이게 당직을 의미해서 당직을 맡는 동안은 응급실 콜이 24시간 언제 올지 모르게 때문에 항상 긴장된 상태로 있게 됩니다. (간혹 일이 하나둘씩 쌓이고 있는데 그 와중에 응급실에서 전화가 오면 피가 마르는 느낌을 받기도 합니다.)새벽 4시에 정규 업무가 끝나서 2시간 정도 잘수 있겠다 하고 누웠는데 응급실에서 수쳐콜이 와서 밤을 꼴딱 센 적도 있습니다. (뭐 사실 밤샌 적이 하루 이틀은 아닙니다.) 닥터차정숙 혼나는 건 일상 육체적으로 힘든 것도 있지만 정신적인 고통도 만만치가 않죠?1년자 레지던트는 병동환자들의 주치의로써 여러 사람들과 컨택하게 됩니다.같은과 교수님 선배의사들, 환자분들, 병동 간호사, 외래 간호사, 응급실 의사 간호사, 타과 교수님 의사들, 등등등그러다 보니 사람과의 일에서 모든 관계가 다 좋을 수는 없습니다.일 때문에도 힘들지만 사람과의 관계에서 어긋나게 되면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저는 다행히 선후배님들과 잘 지낸 편이지만 그렇지 못해 하루하루 지옥같은 시간을 보내는 전공의들도 많이 봤습니다.그리고 지속되는 격무에 의한 스트레스, 환자와 보호자의 컴플레인, 업무를 잘 하지 못한 것에 대한 자책 등여러가지 심적 고통을 받게 됩니다. 닥터차정숙 까칠한 선배 그래도 시간은 흐르고 1년차도 끝이 있습니다..저도 지나고 나서 (좋게 생각해보니) 그때 겪었던 시간들이 또 도움을 주는 면도 있는 듯 합니다.다시 하라면 못하겠지만 그래도 인생에서 한번쯤 겪어볼만한 시기였다고 생각합니다.레지던트 생활에 대한 글, 오늘은 여기에서 마무리하겠습니다.그럼 다음에 또 다른 주제로 찾아오겠습니다.감사합니다. 병원생활은 계속된다.. 닥터 차정숙 플레저성형외과의원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476 5층 플레저성형외과 궁금할 땐 네이버 톡톡하세요! 낭만닥터김사부3 피에 젖은 거즈를 걸어놓는 이유는? (현직 의사 설명충 등판) 안녕하세요 플레저 성형외과 손유석 원장입니다. 최근 낭만닥터김사부3을 재미있게 보고 있는데요, 보다보… blog.naver.com CPR하는 의사들에게 김사부가 그만하라고 한 이유는? (낭만닥터김사부3 리뷰) 안녕하세요~ 플레저 성형외과 손유석 원장입니다. 낭만닥터김사부3 리뷰 및 관련된 썰 2탄입니다. (1탄이 …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