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xc 거래수수료할인 가입하기 – 가입 추천인코드 : 1Xici
상식적으로 생각해보면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말도안되는 행동이었음 미국 GDP 대비 기준금리 위기때마다 늘어나는 부채 코로나 터지기 직전 19년도말미국 부채가 이미 22조 달러였고(GDP대비 107%) 당시 기준금리 1.75%도 감당 안된다고 난리 부채에 많은데 금리를 올리면 이자가 늘어나고이미 부채가 많은 지방정부는 부채한도를 늘리지 않는 이상디폴트 발생 그런데 갑자기 코로나가 터지고?경제가 마비되고 해결책으로 유동성이 공급되면서(재정정책, 통화정책 동시 투하)부채를 50%이상 늘려버림(현재 미국 부채 31조 달러로 상한선까지 차오름) 부채가 이렇게 큰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기준금리를 4.75%로 올린다? 당연히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였고가장 취약한 코인시장 부터 시작해서 현재는 전통적인 금융권(은행)까지 번진상황 얼마나 심각하면SBV 이슈 생기고 미국 대통령이 바로 등판했을까? 연준의 디스카운트 윈도우 폭증= 시중 은행에 유동성고갈이 아주심각 디스카운트윈도우 폭증 = 시중은행 유동성 고갈 아주 심각 신호 자세한 내용은 SK님 트위터 참고 다음주 FOMC는 23일 수요일 새벽3시월/화 이틀 48시간이면SBV급 은행 하나 둘정도 추가로 망하기에는 충분한 시간은행도 문제인데, 보험사, 증권사 또는 다른 산업들은 멀쩡할까?(우리나라도 강원랜드PF 사태때 이미 구제금융 시작한거라고 봐도 무방 + 시중은행 압박해서 시장금리 낮춤=정부의 시장개입) 다음 FOMC 금리 인상폭 예상 현재 기준으로는 25BP 인상 확률이 68%, 동결이 32%인데다음주 월화에 무슨 무슨 문제가 또 터진다면동결 또는 25BP 인하도 아주 불가능한 이야기는 아님 최근 기준금리 잘 맞추고 있는 노무라 증권은 4일전 25BP 인하를 유일하게 전망 금리를 올리면 또다른 산업으로 유동성 문제가 확산될거고(그럼 또 구제금융 하겠지)금리를 낮추거나 동결하면 리세션 신호가 돼서 부동산이랑 주식 등 전통적인 자산 가격은 떨어질 가능성이 높음 일시적으로 혼란스럽겠지만 이후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곳으로 자금이 흘러갈텐데 미국 은행이 이지경인데 다른나라 은행은 멀쩡할까?우리나라도 미국 채권 많이 갖고 있는데 괜찮은건가? 현시점 은행도 보관중인 예금과 미국 채권도 더이상 안전자산이 아님(가장 안전한 자산중 하나인 미국채권을 들고있는 은행이 망했음) +달러 수요는 계속해서 줄고있음(이전보다 준다는 뜻, 명목화폐중엔 NO1) + 더이상 중국 러시아가 미국 채권을 사주지 않고있음 그럼 남은건 금이랑 비트코인비트코인은 가격 변동성이 심해서 위험자산처럼 보이지만 태생이 디플레이션 화폐이자 자산으로 금처럼 희소성을 갖고 있음(본투비 안전자산의 성격을 갖고있음)그외 운반성, 분할성, 위변조 등에 전통적인 가치저장수단 금보다 더 나은 부분이 많이 있음 최근들어 금 가격이 상승하고비트코인의 가격이 더 상승한건 우연이 아님비트코인의 본질을 공부해보면 놀랍게도 안전자산의 성격을 갖고있음 다만 이러한 자산을 가지고 투기처럼 사고팔았으니 도박판이 된거임시장은 단기적으로는 비 이성적인 공간이나장기적으로는 철저하게 이성적임(가치가 없는 자산의 가격은 하락, 희소하고 수요가 많은 자산 가격은 상승) 다음주 수요일전까지비트코인 추가 매수하고만약 FOMC이후 비트코인이 폭등하면 추가매수는 멈추고 현생을 살아갈 생각조정이 오거나 하락을 한다면 지금처럼 꾸준하게 월급범위 안에서만 추매할 계획다음 반감기 까지 비트코인 반감기 계산 시간문제지어차피 돈은 다시 풀릴것 [비트코인 영끌러 매매일지] [3.17매매일지] 비트코인 영끌러(달러패권의 붕괴 시작 그리고 유일한 대안) 며칠전 엄마한테 백만원을 빌렸고 비트코인을 영끌 매수했다. 주식은 팔란티어 1천주 매수 완료 더이상 추… blog.naver.com [비트코인 반감기]https://blog.naver.com/xinchao11/223031708956 비트코인 다음 반감기(2024년 4~5월) 공부겸 공유할 내용들 정리 비트코인은 평균 10분에 1개 블록이 생성되고 블록생성의 대가로 채굴자들은 1…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