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 프사로 차단 확인 방법, 당하면 어떻게 될까?

정수기렌탈 최대사은품당일
안녕하세요. 저는 감성 IT 인플루언서 뮤트라고 합니다. 오늘은 프사를 통해서 카톡 차단 확인 방법 되는지 실질적으로 분석하려 해요. 기본적으로 사진 변경부터 심화 과정까지. 이것이 가능한지, 그리고 실질적으로 쓸 수 있는 기능은 무엇인지 직관적으로 담아보았으니 꼭 읽어보시길 바래요. ​​​ 수신거부 체크하는법 KakaoTalk KakaoTalk 앱을 쓰다보면 가끔 메시지를 읽지 않고 1이 사라지지 않는 경우를 볼 수 있다. 혹시 이 사람이 날 수신거부한 것은 아닐까? 혹은 갑작스레 프로필 사진이 보이지 않는다면? 수신거부 당하면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이렇게 궁금함이 생길 때 상대가 날 거부했는지 여부를 알아보려 한다.​ 필자는 iPhone과 갤럭시 두 기종으로 실험을 하였으며, 이 테스트 모두 3월 말 현시점에서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한 상황임을 알려드린다. 그리고 여러분이 이 포스팅을 읽고 있는 상황에서는 적용할 수 있는 형태이므로 참고하시길 바란다. 소위 알려진 절차인 Kakao Pay 이체, 프로필사진까지 모두 검증해보고 오류를 지적하겠다.​ 필자는 서브 디바이스를 보유하고 있어서 아예 투 폰으로 실험을 할 것이다. 블로그나 여러 커뮤니티에서 검색했을 때 나오는 것 중 대부분은 현재 버전에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총정리를 하면서 어떤 절차로 할 수 있는지를 파헤쳐보겠다.​ 우선 기본적으로 프로필 사진을 바꾸는 방법부터 알아보도록 하자. 기본적으로 KakaoTalk 메인에서 본인의 사진을 클릭해주자.​​#1. 사진 바꾸기 다들 아시겠지만 아무 것도 등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사람 그림자의 아이콘이 형성되어 있을 것이다. 여기서 편집 버튼을 눌러준다.​ 다음으로 본인의 갤러리(앨범)앱에서 사진 또는 배경을 선택해주면 된다. 이외에도 다양한 모션, 텍스트, 디데이 삽입 등도 가능하다. 그런데 이렇게 어느날 갑자기 타인의 배경과 프로필이 모두 사라졌을 경우, 어떻게 된 일일까?​​#2. 수신거부시엔 사진이 어떻게 될까? 이제 실험을 하기 이전, 서브폰인 갤럭시에서 아이폰(본 계정)을 수신거부해주도록 하겠다. 친구 목록에서 꾹 눌러서 탭한 뒤, 상단의 메뉴를 눌러주면 된다. 부계정은 흰색배경, 본계정은 파란색배경으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보시기 쉬울 것이다.​ 이렇게 구분하기 쉽도록 포스팅을 작성하였으니 여러분들에게 쉽게 읽힐 수 있을 것이다. 기존에 알려진 것들이 여전히 유효한 것인지, 혹은 애초부터 되지 않는 절차인데 잘못 알려진 것인지를 낱낱이 공개할 것이다.​- 수신거부를 한 계정 : 갤럭시(기본 화면)- 수신거부 당한 계정 : 아이폰(파란색 화면)​ 가장 첫 번째. 카톡 차단 확인 방법으론 송금을 해보는 것이다. 이는 가장 많은 분들이 사용하는 절차로, 상대가 수신거부를 했을 경우 이체가 되지 않는다고 한다. 과연 이 기능이 가능할까? 참고로 필자가 테스트 해본 결과, 1원을 보냈을 때는 아예 자동 받기가 되므로 100원 이상으로 하는 것을 권한다.​ 이 절차는 상대가 KakaoPay 계좌를 등록하지 않더라도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연락처가 없는 사람이라도 친구 추가가 되어 있으면 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간단하다는 점은 있다. 어라? 이미 수신거부를 해준 상황인데도 이체완료가 뜬다.​ 그리고 아이폰에서 체크 해본 결과, 채팅방에서도 1,000원을 받으세요라는 문구가 나온다. 물론 실질적으로 수신 거부한 계정에서는 PUSH알람이나 새로온 대화 내용을 읽을 수 없기 때문에 금액을 받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말하는 이체 방식을 했을 때, 아예 보내지지 않으므로 상대의 수신거부 여부를 알 수 있다는 것은 거짓임이 밝혀졌다.​ 두 번째, 프로필 사진에 관해서다. 기본적으로 kakao Talk에서 상대를 수신거부하면 자신의 배경화면과 프사는 기본으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이를 통해서 상대가 날 거부했는지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곤 했다. 하지만 오히려 이 때문에 단순히 사진을 지운 사람들이 오해를 받거나 왈가왈부 말이 많아지다보니, Kakao에서는 선택할 수 있게끔 개선을 하였다.​ 설정 > 친구 > 수신거부 친구 관리 항목에서 각각 사람에게 어떤 식으로 보일 것인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말인 즉슨 상대의 사진이 보이지 않을 경우도 수신거부가 아닐 수도 있다는 의미다.​ 이 공간에서 개별적으로 관리를 눌러서 메시지만 거부할 것인지, 프사 비공개까지 할 것인지. 해제해줄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송금 방식과 더불어 이 또한 체크를 하는데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카톡 차단 확인 방법은 아예 없는 것일까? 현재로써 가능한 유일한 절차는 단톡방을 개설하는 것이다. 필자는 또다른 서브폰(수신거부와 관련없는 계정)과 대화방을 만들었다. 여기서 수신거부한 것이 의심스러운 계정을 대화상대 초대로 불러오도록 할 것이다.​ 친구 목록에서 갤럭시폰을 골라줘서 방을 개설하기 하면 된다. 기존 다른 서브폰, 수신거부의심폰, 본계정 세 명으로 구성된 대화방이 만들어져야 하지만 생성을 하면 수신거부해준 디바이스는 초대가 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수신거부를 가장 정확하게 체크해주는 것은 이 방식이 유일한 셈이다.​ 카톡 차단 당하면 프사가 어떻게 되는지, 혹은 송금을 통한 절차, 실제로 가능한 확인 방법을 알아보았다. 여러분들에게도 도움이 되었을 것이라 믿으며, 이 절차 또한 패치로 인해 변화가 생긴다면 재차 리뷰로 알려드리겠다. 함께 단체 대화방을 형성해서 초대가 되는지를 체크해보시면 깔끔하게 해결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