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마켓 거래방법, 동네인증, 끌올, 되팔기, 알림설정, 관심목록 등록 총정리

정수기렌탈 최대사은품받기

안녕하세요. 행복하게 재테크하는 하하호호에요. ​요즘은 집에 있는 물건 팔 때 다들 당근마켓 이용하시죠? 저도 당근마켓에 물건 팔면서 매월 치킨값 정도 벌고 있어요. ​당근마켓 나오기 전에는 네이버 중고나라를 이용했는데 중고나라보다 더 간단하게 물건을 올릴 수 있고 택배없이 문앞거래를 할 수 있어서 넘 편하고 좋더라구요. ​당근마켓을 하기 위한 거래방법, 동네인증부터 끌올, 되팔기, 알림설정, 관심목록 등록 방법부터 좀더 똑똑한 사용 팁까지 총정리해서 소개할까 합니다. ​버리긴 아깝고 쓰지는 않는 물건들을 당근마켓과 같은 중고거래 사이트에 거래하면 자연스레 <아나바다>도 실천하고, 적은 돈이지만 치킨값 정도 벌수 있어서 좋은 앱 많이 사용해으면 좋겠어요. ​ ​ 당근마켓 거래방법 넘넘넘 쉬워요 당근마켓을 이용한지가 1년이 넘었네요. 이렇게 오래 자주 사용하게 된 이유는 무엇보다 거래방법이 너무 간단하기 때문인 것 같아요. 당근마켓 앱을 깔고, 실행시켜보면 당근마켓 앱을 처음 사용하는 사람이라도 쉽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요. 초초간단. ​당근마켓 거래방법은 당근마켓 앱을 깔고, 첫 화면 맨 아랫쪽에 빨간색 동그라미 / 내물건 팔기 / 사진, 제목, 카테고리, 가격, 간단한 상품 설명만 입력하면 내 상품 등록 끝. 참~ 쉽죠!! ​​당근마켓 거래방법 팁 중고 시세 미리 알아보기. 한번은 공업용 미싱을 판 적이 있는데, 물건을 올리자 마자 4-5명이 연락이 오더라구요. 알고 보니 제가 중고시세보다 5-7만원이나 싸게 올려놨더라구요. 작은 물건들은 모르겠는데, 가격이 좀 나가는 물건은 감으로 올리지 말고, 중고시세 미리 확인해보세요. 그럼 더 좋은 가격에 거래할 수 있어요. ​ ​​누군가 내 물건에 관심이 있으면 이렇게 문자가 와요. 그럼 서로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거래 장소와 시간을 정하고 거래하시면 됩니다. 요즘은 돈은 미리 송금하고, 문앞에 놔둔 물건을 가져가는 비대면 거래도 많이 하더라구요. ​ ​ 당근마켓 동네인증 당근마켓에서 거래를 하려면 먼저 동네인증을 해야 합니다. 당근마켓은 GPS를 기반으로 휴대폰의 우치에 따라 동네 인증을 하는 시스템입니다. 동네 설정은 2곳까지 가능합니다.​동네인증 방법은 <나의 당근> – <내 동네 설정>으로 가면 흰 동그라미가 나오는데 그걸 오른쪽으로 옮기면 내가 있는 곳을 기준으로 동네 범위가 넓어지고, 왼쪽으로 옮기면 범위가 좁아집니다. 흰 동그라미 아래 걸 집 그림이 있는 초록색의 진하기로 바로 볼 수 있어요. ​​ ​​동네 설정을 마치면, 내 동네 설정 밑에 있는 <동네 인증하기>로 갑니다. 자동적으로 GPS가 작동해서 현재 있는 고과 설정한 동네가 맞으면 <현재 위치가 내 동네로 설정한 ooo 내에 있어요> 라고 뜹니다. 그럼 <동네인증 완료하기> 클릭 ​당근마켓 동네인증 팁 다른 동네에서도 동네인증이 가능. 만약, 내가 다른 동네에 가서 지금처럼 동네 인증하기를 하면 그 동네로 인증이 가능하고, 그 동네에 있는 분들과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왜냐, 당근마켓은 GPS를 기반으로 하는 앱이기 때문입니다. ​ ​​ 당근마켓 끌올 내물건 꾸준히 노출시키기 저는 얼마전에 한동안 안 팔리던 남방을 1개 팔았어요. 옷은 넘 좋은데 버리긴 아깝고, 팔리지는 않고, 그냥 헌옷 수거함에 넣어 버릴까 하다가 몇차례 끌올을 하면서 기다렸는데 팔리더라구요. 모든게 다 때가 있고 인연이 있나봐요. ​만약에 당근마켓에 끌올기능이 없었다면 제 물건은 리스트 저 밑에 깔려서 보이지도 않았을텐데 끌올이 있어서 새롭게 상위에 노출되면서 인연을 만난 것 같아요. ​끌올은 나의 당근 / 판매내역 / 끌어올리기 순서대로 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저 밑에 깔려 있던 내 물건이 당근마켓 젤 위로 오게 됩니다.​ ​​​당근마켓 끌올 팁 끌올은 하루에 5개만, 한 제품에 15번까지만 가능, 가격 낮추기 끌올은 하루에 5개, 한 제품에 15번까지만 가능만 할 수 있어요. 끌올을 하면서 가격을 낮춰서 구매확률을 높일 수도 있어요. ​ ​​ 당근마켓 알림설정 내가 찾던 물건 먼저 찜 ​내게 꼭 필요한 물건이 있는데, 그걸 찾기 위해 당근마켓에 뜨는 물건들을 다 뒤지기엔 시간이 아깝더라구요. 그래서 알림설정을 해 두니까 필요한 물건이 올라올 때마다 바로바로 알려줘서 빠르게 물건을 구입할 수 있어서 좋더라구요. ​나의 당근/ 키워드 알림 에 가서 필요한 물건을 적으면 됩니다. ​당근마켓 알림설정 팁 알림설정은 구체적으로. <운동화>라고 적으면 애기운동화부터 운동화란 운동화는 다 뜨는데, <운동화 240> 이라고 적으면 딱 그것만 알려주니까 더 편한 것 같아요. ​ ​​ 당근마켓 정직한 되팔기 운동화가 필요해서 당근을 보다가 괜찮은 운동화가 있어서 샀어요. 사서 신어보니 1켤레 빼고는 다 발에 안 맞거나 취향에 안 맞아서 못 신게 되었어요. 그래서 다시 당근에 올렸더니 필요하신 분이 보고 사 갔어요. 당근마켓에서 집에 있는 내 물건만 파는게 아니라 내가 구입한 물건을 되팔기 할 수도 있더라구요. ​​당근마켓 되팔기 팁 나만의 스타일로 매너있는 되팔기 저는 사진을 좀더 예쁘게 자세하게 찍어 올렸어요. 처음에 있는 사진은 제가 구입할 때 본 사진이구요(욕실 슬리퍼 옆 필라 운동화), 두번째 사진은 제가 찍어서 올린 사진이에요. 좀더 제품이 잘 보일 수 있도록 다양한 각도에서 예쁘게 자세히 찍어서 올렸어요. 내가 조금만 더 신경쓰고 노력했더니 당근마켓 되팔기도 되더라구요. 나의 노력에 대한 보상으로 보면 될 것 같아요. ​단, 무료 나눔을 되팔거나 구매 금액의 2-3배 높은 금액으로 되파는 식의 되팔기는 안 했으면 좋겠어요. ‘소유권이 내게 있는 물건, 내 맘데로 처리하는데 뭐~’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무료나눔해준 분, 싸게 내놓으신 분들의 마음을 헤아리고 서로간의 매너는 지키면서 이용하면 좋겠어요. ​ ​​ 당근마켓 관심목록 등록​ 살까말까 고민될때 ​사고는 싶은데 지금 당장 필요하지는 않고, 지나쳐버리자니 관심은 가는 물건이 있으면 관심목록 등록하기를 해 두세요. 그러면 나중에 가격이 내려가면 알림이 와요. ​관심목록 등록하기는 관심있는 물건의 맨 아래쪽 가격옆 하트를 누르면 관심목록으로 등록이 됩니다. ​​당근마켓 관심목록 등록 활용 팁 살까말까 고민될 때 일단 관심목록에 등록 관심목록에 넣어 놓고 나중에 다시 봐도 또 사고 싶은 생각이 들면 그때 사도 늦지 않으니까요. 그리고 관심목록으로 등록된 제품 중 가격이 내려가면 가격이 내려갔다는 알림이 와요. 적정한 가격으로 떨어졌을 때 사도 좋을 것 같아요. ​ ​관심목록 확인은 나의당근/ 관심목록에 들어가면 내가 등록해둔 관심목록들을 다 볼 수 있어요. ​ ​​ 당근마켓 알바, 중고차, 농수산물, 부동산, 과외 당근마켓에서 물건만 사고 파는게 아니었네요. 앱 하단 가운데에 <내 근처>를 누르면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당근마켓 알바(당근알바), 중고차, 농수산물, 과외, 부동산까지 알수 있어요. ​당근마켓 알바에 들어가봤는데요 최근에 올라온 괜찮은 알바들이 쭉 있더라구요.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등록된 건수나 내용이 다 다르겠지만 당근마켓에서도 알바(당근알바), 중고차, 농수산물, 과외, 부동산 자료를 얻을 수 있으니까 한번씩 확인해 보면 필요한 자료를 찾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 ​​ 당근페이 11,000원 받아가세요. ​당근페이를 통해 케이뱅크 계좌를 만들고( 단, 생에 첫 케이뱅크 계좌 개설시) 당근페이에 케이뱅큼 계좌를 연결하면 11,000원을 받을 수 있어요. 단, 이미 케이뱅크가 있는 사람은 당근페이와 케이뱅크 계좌 연결로 1,000원만 받아 갈 수 있어요. 저도 이미 케이뱅크가 있어서 아쉽~~​ ​​지금까지 당근마켓을 하기 위한 거래방법, 동네인증부터 끌올, 되팔기, 알림설정, 관심목록 등록 방법부터 좀더 똑똑한 사용 팁까지 덤으로 당근마켓 알바, 중고차, 농수산물, 부동산, 과외, 당근페이까지 당근마켓에 나오는 거의 모든 기능들을 다 알아봤어요. ​미니멀라이프를 외치면서도 사 놓고 안 쓰는 물건들이 집에 구석구석 어찌 그리 많은지.. 저만 그런가요? ​그냥 버리면 쓰레기 되지만 당근마켓에 올려 나누면 자연스레 아나바다(아껴쓰고, 나눠쓰고, 바꿔쓰고, 다시쓰고)도 되고, 덤으로 치친값도 벌구 두마리 토끼를 한방에 잡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인 것 같아요. ​저는 앞으로도 당근마켓을 꾸준히 잘 쓸꺼에요.